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플라시보 효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한 3가지 사례
    메니에르 관련 기록 2025. 4. 23. 10:00

    세계적 플라시보 연구자인 파브리지오 베네데티(Fabrizio Benedetti)의 2016년 리뷰 논문을 통해, 플라시보 효과가 뇌와 신체에 미치는 과학적 변화를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직전 글에서는 간단하게 플라시보와 노시보를 비교하는 글을 올렸습니다.
    (이전 글 참고: 플라시보와 노시보, 어떻게 믿음이 몸을 바꿀까? https://stillbright.tistory.com/8)
    우리는 긍정적인 효과에 중점을 두고 보다 더 효율적으로 스스로 질병을 개선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는 플라시보 효과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다뤄보고자 합니다.

    플라시보 효과와 노시보 효과의 비교 이미지


     베네데티의 리뷰 논문에 따르면 플라시보 효과란 단순한 심리적 착각이 아니라 실제로 신경전달물질(엔도르핀, 도파민, 옥시토신 등) 에 변화를 일으킨다는 걸 과학적으로 증명했습니다.

     이는 통증 완화, 우울증 개선, 파킨슨병 운동기능 향상, 면역반응 강화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플라시보를 사용하는 데 있어 윤리적 고려(환자에게 거짓을 알리는 문제)도 논의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핵심은 "플라시보는 실제 뇌의 화학 변화를 일으키며, 일부 질병에서는 치료제 못지않은 효과를 낸다." 입니다.

     


    이번엔 리뷰 논문과 케이스별 논문을 가지고 실제 사례를 3가지 들어보겠습니다.


     

     

     

    1. 통증 완화 사례

     Jon Levine, Newton Gordon, Howard Fields가 수행한 연구에서는 위약(생리식염수)을 투여받은 환자 중 약 39%가 통증 완화를 경험했습니다. 또한, 이 효과는 엔도르핀과 같은 *내인성 오피오이드의 작용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나록손(naloxone) 투여 시 차단되었습니다. (*내인성 오피오이드: 몸 안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 마약성 진통 물질)

    즉,  단순한 '기분 탓'이 아니라 신경화학적 반응을 유도하여 실제 통증 완화를 가져오는 생리적 현상임을 증명한 것입니다.

     

    생리식염수 주사를 맞고 통증 완화를 경험하는 사람




    2. 파킨슨병 환자 사례

     de la Fuente-Fernández et al. (2001)의 연구는 파킨슨병 환자 6명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PET 연구입니다.

     환자들에게 도파민 약물(아포모르핀)을 투여한다고 말하고 실제로는 위약을 투여한 결과, 환자들의 뇌에서 도파민이 분비되었고, 일부 환자들은 운동 기능이 실제로 향상되었습니다.​

     위의 사례는 플라시보 기대만으로 신경전달물질(도파민) 방출이 촉진될 수 있다는 강력한 과학적 증거입니다.

    플라시보 효과로 운동 기능이 향상된 파킨슨병 환자



    3. 우울증 환자 사례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Zubieta et al., 2015)에서는, 플라시보 복용만으로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이 활성화되고, 기분이 실제로 개선되는 현상이 확인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35명의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은 "활성" 또는 "비활성" 항우울제라고 설명된 위약(placebo)을 복용한 후 실제 항우울제 치료를 받았습니다.
     PET 스캔 결과, 위약에 긍정적으로 반응한 참가자들은 이후 실제 항우울제 투여 시에도 더 높은 치료 효과를 보였고, 위약 반응은 최종 항우울제 치료 효과의 약 43%를 예측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이 연구는 전전두엽과 μ-오피오이드 시스템의 활성화를 통해 긍정적인 기대감이 뇌의 화학 반응에 깊이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전전두엽의 기능에는 의사결정, 집중, 공감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그 중에는 감정 조절 기능이 있습니다.)

     

    플라시보 효과로 활성화된 전전두엽 기능을 표현한 뇌

     

     

    요약하자면 플라시보 효과의 메커니즘인 '긍정'이라는 심리로 인해 통증 측면에선 엔도르핀이 활성화되어 통증이 완화되었고, 파킨슨 병의 경우 도파민 분비가 증가하여 운동기능이 개선되었으며, 우울증의 경우 전전두엽이 활성화되어 기분이 개선되었다는 사례입니다.

    이를 통해 플라시보 효과가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은, 생각과 믿음은 단순한 심리가 아니라 자신을 직접적으로 치료시켜줄 수 있는 신경 생물학적 반응을 이끌어낸다는 것이며, 이를 잘 활용하면 치료를 보완하거나 일상에서 몸과 마음을 스스로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메니에르병 혹은 다른 질환으로 인해 어지러움을 겪는 여러분들이 플라시보 효과와 함께 효과적으로 자신을 관리할 수 있는 저염식의 관리 방법 중, 일상생활에서 나트륨을 확인하는 방법 등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참고로 메니에르 환자에게 저염식이 왜 중요한지는 이전 글에서 다뤘기에 관련 글을 참고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관련 글: "메니에르, 왜 저염식이 필요할까?"  https://stillbright.tistory.com/3)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Benedetti, F. (2016). Placebo Effects: Biological, Clinical and Ethical Advances. The Lancet.

    -Levine, J. D., Gordon, N. C., & Fields, H. L. (1978). The mechanism of placebo analgesia. Lancet, 2(8091), 654-657.

    -de la Fuente-Fernández, R., Ruth, T. J., Sossi, V., Schulzer, M., Calne, D. B., & Stoessl, A. J. (2001). Expectation and dopamine release: Mechanism of the placebo effect in Parkinson's disease. Science, 293(5532), 1164–1166.

    - Zubieta, J.-K., et al. (2015). Placebo-activated neural systems are linked to antidepressant responses. JAMA Psychiatry.

     

     

     

     

     

     

    해당 글에 포함된 모든 이미지는 창작자의 기획에 따라 제작된 AI 기반 캐릭터 이미지이며,
    특정 인물을 참고하지 않았습니다.
    ⓒ 2025 stillbright. All rights reserved.
    본 콘텐츠는 창작자에게 모든 권리가 있으며, 무단 복제, 배포, 수정 및 허가 없는 상업적 재사용을 금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