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플라시보와 노시보, 믿음이 몸을 어떻게 바꿀까?
    메니에르 관련 기록 2025. 4. 22. 10:00

    이번 글은 플라시보와 노시보 효과를 통해 믿음과 기대, 불안이 몸에 미치는 실제 생리적 변화를 살펴봅니다. 

    통증 완화와 건강 악화 사례를 과학적 근거에 따라 쉽게 풀어 설명합니다.

     

     우리 몸은 생각보다 마음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특히 기대감과 불안은 실제로 생리적 변화를 일으키며, 질병의 경과나 증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개념이 바로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노시보 효과(Nocebo Effect) 입니다.

     

    플라시보 효과와 노시보 효과로 활기차거나 위축된 뇌를 비교한 그림

    플라시보 효과란?

    플라시보 효과는 실제로 약리 효과가 없는 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건강 개선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주요 특징

    • 기대감이 긍정적인 생리적 반응을 유도
    • 통증 감소, 기분 개선, 면역 기능 강화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
    • 도파민, 엔도르핀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활성화 관찰

    대표 사례

    가짜 무릎 수술 실험: 무릎 관절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Moseley et al., 2002)에서는 실제 수술 없이 피부만 절개한 환자들도 통증이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가짜 무릎 수술 후 통증이 줄어든 환자의 회복 모습

     

    플라시보 효과는 단순한 착각이 아니라, 뇌와 신경계의 실제 변화를 수반하는 현상입니다.

     

    노시보 효과란?

    노시보 효과는 플라시보와 반대 개념으로, 해롭지 않은 치료나 상황에서도 부정적인 기대감으로 인해 실제로 건강이 악화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주요 특징

    • 불안과 부정적 기대가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을 유발
    • 두통, 메스꺼움, 피로 등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됨
    • 코르티솔(스트레스 호르몬) 과다 분비와 관련

    대표 사례

    가짜 전자파 노출 실험: 실제 전자파가 없는 상태에서도, "전자파가 노출됐다"고 믿은 참가자들이 두통, 어지럼증 등의 증상을 호소했습니다(Rubin et al., 2006).

    가짜 전자파 노출로 인해 괴로워하는 여성의 모습

     

    노시보 효과는 정보 제공 방식에 따라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의료 현장에서는 주의 깊은 설명이 필요합니다.

     

     

    플라시보와 노시보의 메커니즘

    플라시보

    • 기대감 → 도파민, 엔도르핀 분비 → 통증 감소, 기분 개선
    • 전전두엽 활성화 → 긍정적 신체 반응 유도

    노시보

    • 불안감 → 코르티솔 분비 증가 → 통증 증폭, 면역 기능 저하
    • 전측 대상회, 섬피질 과활성화 → 부정적 신체 반응 유도

    플라시보와 노시보가 주는 교훈

    플라시보와 노시보 효과는 단순히 심리적 현상이 아니라, 실제 생리적 변화를 일으키는 강력한 힘을 보여줍니다.
    이는 기대와 믿음이 우리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절대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 긍정적인 기대는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 과도한 불안과 부정적 정보는 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깨끗한 물 한잔에 검은 잉크 한 방울이면 혼탁해지는 건 다 알고 계실겁니다.

    하루 종일 기분 좋아도 기분 나쁜 일 하나 생기면 9가지의 기분 좋은 일도 흐려지기 마련이지요.

    부정적인 마음은 그런 검은 잉크와도 같습니다.

     

    맑은 물에 떨어진 검은 잉크를 통해 부정적 감정을 표현한 이미지

     

     다양한 난치 질환 환자들은 이와 같은 회색 빛의 마음이 자주 올지 모르겠지만, 스스로 긍정이라는 필터를 열심히 작동시켜 위의 논문과 같이 몸도 마음도 치유되는 플라시보 효과를 조금이라도 스스로 이끌어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좋은 건 두 번 이상은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플라시보 효과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 파브리지오 베네데티 (Fabrizio Benedetti)의 대표적 플라시보 효과의 적용 기전과 실제 사례를 조금 더 심도있게 다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고 문헌
    -Moseley JB, et al. (2002). A controlled trial of arthroscopic surgery for osteoarthritis of the kne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Rubin GJ, et al. (2006). Environmental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s and non-specific physical symptoms: a systematic review. Psychosomatic Medicine.

     

     

     

     

     

     

    해당 글에 포함된 모든 이미지는 창작자의 기획에 따라 제작된 AI 기반 캐릭터 이미지이며,
    특정 인물을 참고하지 않았습니다.
    ⓒ 2025 stillbright. All rights reserved.
    본 콘텐츠는 창작자에게 모든 권리가 있으며, 무단 복제, 배포, 수정 및 허가 없는 상업적 재사용을 금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