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니에르병 약물치료 실패 후 부항 치료로 완치된 실제 사례메니에르 관련 기록 2025. 5. 5. 09:57
기존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던 메니에르병 환자가, 부항 치료만으로 증상 완화를 이룬 실제 사례를 소개합니다.
메니에르병은 반복적인 어지럼증과 이명, 청력 저하를 동반하는 만성 질환입니다.
뚜렷한 완치법이 없어 많은 환자들이 장기간 고통을 겪습니다.
그런데 2024년 기준, 기존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던 메니에르병 환자가 부항 치료만으로 완전 관해(remission)에 이른 놀라운 사례 보고가 공개되었습니다.
부항 도구 이미지 사례 개요
- 대상: 54세 남성
- 특이사항: 만성 질환, 갑상선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자가면역 질환 병력 없음(기저질환과 연관성 없음을 시사)
- 가족력: 유전 질환 없음
- 초기 증상: 어지럼증, 이명, 청력 저하
- 어택 유발 요인: 왼쪽을 보는 것, 배가 고픈 것, 바람이 불거나 더운 날씨
- 진단: 전형적인 메니에르병
- 기존 치료: 스테로이드, 이뇨제, 베타히스틴, 저염식 등
- 처방 효과 없음 → 전정신경 절제술 제안 받았으나 환자가 거부
이후 환자는 습식 부항 치료를 선택했습니다.
부항 치료 과정
- 시술 부위: 귀 주변, 목덜미, 견갑 사이, 두정부 등
- 방법: 피부에 미세한 절개 후, 부항으로 혈액 약 150ml 제거
- 빈도: 월 1~2회 / 마지막 달은 월 3회 시행
- 기간: 2년간 지속
- 특이사항: 치료 중 피부 이상, 감염 등 부작용 없음
해당 이미지는 논문 내 그림을 재구성한 것으로, 부항 치료 시 타겟팅된 부위를 보여줍니다. 녹색 원은 모든 세션에서 시술된 부위, 파란색 원은 간헐적으로 시술된 부위를 나타냅니다. 치료 결과
- 치료 첫해부터 어지럼증 빈도와 강도 감소
- 2년 후 증상 완전 소실
- 치료 종료 후 14년간 재발 없음
이 사례는 2024년 국제학술지 Cureus에 정식 보고되었으며 국제학술지(PMC11002707)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이 결과를 두고 다음과 같이 평가했습니다.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던 메니에르병 환자에서 부항이 의미 있는 효과를 보였다. 단, 이는 단일 사례이며 향후 대규모 임상연구가 필요하다.”
즉, 과학적으로 확정된 치료법은 아니지만, 치료 실패 후 다른 선택지를 고민 중이라면 참고할 만한 실제 사례입니다.
결론
- 메니에르병은 다양한 치료가 시도되지만, 효과는 개인마다 다릅니다.
- 부작용 없이 진행된 이 부항 치료 사례는 대체의학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 단,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개인의 건강 상태와 병력에 따라 반드시 전문가의 상담 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이후 관련 논문이나 정보가 확인되는 대로, 메니에르에 관련한 주제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다음 글은 제가 장기적으로 앓아왔고 지금은 추적관찰중인 갑상선 항진증에 대해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Jamal, T. S., Aseri, K. S., Alghamdi, F. S., Asiri, A. M., & Hakami, A. S. (2024). Cupping therapy as a potential complimentary treatment for Meniere's disease: A case report. Cureus, 16(3), e55864. https://doi.org/10.7759/cureus.55864
해당 글에 포함된 모든 이미지는 창작자의 기획에 따라 제작된 AI 기반 캐릭터 이미지이며,
특정 인물을 참고하지 않았습니다.
ⓒ 2025 stillbright. All rights reserved.
본 콘텐츠는 창작자에게 모든 권리가 있으며, 무단 복제, 배포, 수정 및 허가 없는 상업적 재사용을 금합니다.'메니에르 관련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두통 유발 음식 리스트 7가지 | 내가 겪은 두통의 원인들 (0) 2025.05.04 약물과 비약물요법으로 편두통 다스리는 법 (0) 2025.05.03 메니에르병과 함께 알아보는 편두통 전조증상 (0) 2025.05.02 메니에르병과 편두통, 정말 관련이 있을까? (0) 2025.05.01 메니에르 환자라고 움직임을 무조건 조심해야 할까? (0)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