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식도염이란? 원인부터 증상까지 한눈에 정리
    역류성 식도염 관련 기록 2025. 5. 19. 23:16

    식도염은 단순한 속쓰림으로 치부하기엔 증상도, 예후도 다양합니다. 해당 질환을 앓고 계신 분들이 조금 더 수월하게 자신의 질병을 이해할 수 있도록 원인부터 증상, 진단과 치료까지 식도염의 모든 것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1. 식도염, 단순한 속쓰림이 아니다

    소화불량이나 속쓰림을 겪을 때, 많은 분들이 단순한 소화 문제로 넘기곤 합니다.
    하지만 그 증상이 식도염의 전조증상이라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식도염은 식도에 직접적으로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그 원인과 형태에 따라 치료법과 예후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식도염의 정의

    식도염(Esophagitis)은 식도의 점막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하며, 주된 원인은 위산, 담즙, 약물, 감염, 알레르기 등 다양합니다.

    염증의 정도에 따라 미란성(표면 손상) 식도염부터 궤양성 식도염까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도염으로 괴로워하는 환자의 모습

     

    3. 식도염의 주요 원인

    • 위산 역류(GERD): 가장 흔한 원인으로, 위의 산성 물질이 식도로 올라와 점막을 자극.
    • 담즙 역류: 위산보다 더 강하게 작용하여, 위산과 결합 시 독성을 띄며 위와 식도 모두 손상 발생.
    • 약물 유발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 항생제, 철분제 등 특정 약물들로 인한 화학적 화상과 같은 식도 자극.
    • 감염성 식도염: 면역억제제 및 항암제를 사용하거나,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과 관련이 있습니다. 주로 면역 결핍상태에 빠지기 쉬운 노인층, 당뇨병 환자, 장기 이식 환자와 같은 경우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 호산구성 식도염(EoE): 면역 시스템이 형성되는 영유아기에 비정상적인 자극으로 장내 세균총이 변화하여 발병하는 등의 환경적 요인과, 남성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유전적 요인이 있습니다.

     

     

     

     

     

    5. 주요 증상

    • 가슴 중앙의 작열감(속쓰림)
    • 목 이물감 또는 통증
    • 삼킴 곤란(음식이 걸리는 느낌)
    • 가래, 기침, 쉰 목소리 등 후두 관련 증상
    • 숨 막히는 듯한 흉통 (심장질환과 혼동될 수 있음을 주의)

     

     

     

     

     

    6. 진단 방법

    진단 방법 중 하나인 24시간 pH 모니터링 센서 위치 이미지

    • 상부 위장관 내시경(위내시경)
    • 조직검사 (바렛 식도 등의 진단 확인 여부 필요 시)
    • 24시간 pH 모니터링 (산도 측정 센서가 달린 관을 코를 통해 하부식도괄약근 상부에 위치시킨 채 24시간 일상생활)
    • 식도 내압검사 (운동성 이상 확인, 15~30분 정도 소요)

    위 검사들을 통해 식도 손상의 정도와 정확한 원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치료 방침도 해당검사의 결과에 따라 달라집니다.

     

     

     

     

    7. 치료 방법

    식도염 대증요법 치료의 4가지 관리법

     

    • 약물 요법: 위산 역류가 원인이면 위산억제제 처방, 박테리아 및 세균 원인이면 특정 항생제가 처방됩니다.
    • 대증 요법: 과식 및 탄산음료 제한, 금연, 지방이 많거나 위산을 자극하는 초콜릿, 술 등 제한하거나 체중 감량 등.
    • 위의 약물 및 대증 요법으로 효과가 없음과 동시에 출혈, 천공, 협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가장 대중적인 위저부주름술등 다양한 방법의 수술 요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8. 마무리하며

    이전 글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제 초기 증상은 이유 없이 단지 목이 쉬는 것이었습니다.(역류성 식도염 첫 시리즈 참고 링크)

    그때 제가 식도염인 걸 알았다면 조금 더 빠르게 대처할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 있기 때문에,

    노래방에 가서 소리를 지르거나 감기에 걸려서 몸이 안 좋은 것도 아닌데 단지 단 하나 목만 쉬어계신 상태라면,

    꼭 내과에 방문해서 식도염 관련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식도염은 ‘잠깐의 속쓰림’으로만 치부해서는 안 되는 질환입니다.
    만성화되면 식도 협착, 식도 출혈, 심하면 바렛식도(동양인에게는 드물게 나타남)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초기 증상을 정확히 이해하고, 조기에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다음은 많은 분들이 혼란해하시는 식도염과 역류성식도염(GERD)의 차이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자료

    -Kim, S. J., Choi, C. W., & Hwang, C. S. (2022).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Taehan Sohwagi Hakhoe chi, 79(3), 99–108. https://doi.org/10.4166/kjg.2021.119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수술 정보 

    -Mayo Clinic, Esophagitis

    -한국간호사회 식도내압검사

     

     

     

    ※ 이 콘텐츠는 개인 경험과 신뢰할 수 있는 논문 및 의료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된 건강 정보 제공용 글이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반드시 전문의의 상담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글에 포함된 모든 이미지는 창작자의 기획에 따라 제작된 AI 기반 캐릭터 이미지이며, 

    특정 인물을 모델로 하지 않았습니다.

     

    ⓒ 2025 stillbright. All rights reserved.

    본 콘텐츠는 창작자의 경험과 공개된 의료 자료(논문/의료 기사 등)를 기반으로 재구성한 창작물입니다.

    모든 문서 및 이미지의 저작권은 창작자에게 있으며, 무단 복제, 배포, 수정, 재사용을 금합니다.

    인용된 외부 자료는 각 출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