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니에르 진단, 나한테 왜 왔을까? 원인과 치료 방향 정리 (feat. 약 복용 후기)메니에르 관련 기록 2025. 4. 17. 04:44
메니에르는 대체 왜 걸리게 되는걸까? 이 부분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어지러움을 유발하는 원인은 생각보다 다양해요.
특히 메니에르병이 의심될 때는, 다른 유사 질환들과의 감별 진단이 아주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질환들은 다음과 같습니다.1.이석증 (BPPV: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 전체 어지러움 환자의 20~40%로 가장 흔한 원인
- 고개를 돌릴 때 짧게 발생하는 회전성 어지럼
2. 전정신경염 (Vestibular neuritis)
- 감기 후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생길 수 있음
- 수 시간~수일간 지속되는 강한 어지럼 + 오심·구토 동반
3. 자율신경계 이상 (기립성 저혈압, 불안장애 등)
- “빙빙”보다는 “붕 뜨는 느낌” 같은 기능성 어지럼
- 스트레스, 저혈압, 피로 등에 민감한 사람에게 흔함
4. 메니에르병 (Ménière’s disease)
- 이명, 청력 저하, 회전성 어지럼이 반복적으로 나타남
- 전체 어지럼 환자의 약 7~10%로 보고됨
5. 경추성 어지러움 (Cervical dizziness)
- 목 통증이나 근육 긴장, 자세 불균형과 연관
- 회전성보단 멀미 같은 불안정감
6. 중추성 어지럼 (뇌질환, 뇌졸중 등)
- 비율은 낮지만 생명과 직결될 수 있어 응급 감별 대상
- 발음 이상, 갑작스런 두통, 사지 마비 동반 시 반드시 병원 방문
어지러움으로 머리를 짚고 있는 여성의 모습 이처럼 어지럼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인 발생 빈도로 보면,
이석증 > 전정신경염 > 자율신경계 이상 > 메니에르 > 경추성 어지러움 > 뇌질환 순으로 발생합니다.
뇌질환은 드문 편이지만, 증상이 심할 경우 즉시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참고자료: 대한신경과학회 / 대한이비인후과학회 /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BPPV
또한 드물게 다른 건강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 내분비계 이상
- 신진대사 장애
- 갑상선 기능 저하
- 자가면역 질환
- 만성 스트레스
이러한 요인들이 겹쳐서 메니에르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출처 (대한한방내과학회)
https://www.jikm.or.kr/journal/Figure.php?xn=jikm-41-2-213.xml&idObjectives
JIKM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J Int Korean Med 1226-9174 The Society of Internal Korean Medicine Korea jikm-41-2-213 10.22246/jikm.2020.41.2.213 Case Report 한방병원에 입원한 두통을 동반한 메니에르 병 의증 환자에 대
www.jikm.or.kr
저는 갑상선 항진증으로 약을 복용하다가 기능 저하로 전환되었고, 그 시기에 메니에르 증상이 함께 찾아왔어요.
자가면역 질환과 자율신경계의 불균형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입니다.이런 경우에는 단순히 어지러움 약만 복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저 질환을 함께 치료하면서 전체적인 균형을 맞추는 게 핵심이에요.
예전에 어지럼증 환자 카페를 잠깐 들여다봤을 때, 어지럽다고 무조건 약만 먹고, 정작 근본 원인에 대한 고민은 없는 경우를 많이 봤어요. 그래서 이 글을 보는 여러분만큼은 내 몸에 일어난 이상 증상을 넓게 보고,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함께 고려해주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글을 씁니다.
이 사진은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 복용한 실제 복약 안내서입니다. 저는 메니에르 진단 후 다음과 같은 약을 처방받았어요:
- 이뇨제
- 현기증 치료제
- 혈액순환제
하지만 저에게는 큰 효과가 없었고, 오히려 이뇨작용 때문에 탈수와 수면 방해가 심해졌어요.
한 달 정도 복용 후 중단했고, 그 이후엔 물을 더 많이 마시고 저염식 위주로 식단을 바꾼 뒤 증상이 점차 나아졌습니다.다만, 이건 제 개인적인 사례일 뿐! 약 복용 중인 분들은 절대로 임의로 중단하지 마시고,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의심될 경우 반드시 주치의와 상담하세요.
저는 복약 중단과 동시에 저염식 및 식이요법을 병행하며 메니에르를 이겨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 중 가장 효과가 좋았던 건 수분 섭취와 엄격한 저염식이었는데, 이 부분이 메니에르 환자에게 왜 중요한지와 어떻게 나트륨과 소금량을 확인하고 조절하는지를 다음 글에서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메니에르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저염식 식단: 칼륨이 풍부해 나트륨 배출에 효과적인 과일들 해당 글에 포함된 모든 이미지는 창작자의 기획에 따라 제작된 AI 기반 캐릭터 이미지이며,
특정 인물을 참고하지 않았습니다.
ⓒ 2025 stillbright. All rights reserved.
본 콘텐츠는 창작자에게 모든 권리가 있으며, 무단 복제, 배포, 수정 및 허가 없는 상업적 재사용을 금합니다.'메니에르 관련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지럼증 환자의 일상생활 대처법과 주의사항 및 금기사항 (0) 2025.04.20 전정재활훈련(VRT)으로 어지럼증 완화하기|5가지 자가운동 방법 (0) 2025.04.19 메니에르 환자의 나트륨 과다 섭취 후 현훈을 줄이는 3가지 방법 (0) 2025.04.18 메니에르, 왜 저염식이 필요할까? (feat. 나트륨과 내이) (0) 2025.04.17 메니에르병 첫 진단부터 저염식까지, 나의 일상 기록 (3)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