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염, 건강에 무조건 이로울까?|연구 기반 효능과 주의사항 정리
죽염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과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알칼리성, 항산화 효과부터 섭취 시 주의사항까지 확인해보세요.
2000년대 초반 한 차례 유행했던 죽염이 요즘 다시 주목받고 있는데요,
실제로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관련 연구 결과와 주의사항을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중립적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먼저, “죽염”이란?
천일염을 대나무 통에 넣고 황토로 밀봉한 후,
고온(약 1,000~1,500도)에서 반복적으로 굽는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가공 소금입니다.
최근 블로그 유입 중 ‘죽염수를 마신 후 어지러움증’이라는 검색어가 포착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처음 접해본 요법에 궁금증이 생겨 조사해보니 일부 관련한 연구 결과가 있는 걸 봤지만,
이 자체가 임상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보기에는 아직 미흡하다 판단되어 이 주제를 다루게 되었습니다.

죽염에 대한 자체적 성분의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었지만,
인체에 미치는 효과를 명확히 입증하기에는 아직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상태입니다.
그러나 그 이점이 충분히 연구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기에, 아래에 관련된 연구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죽염 관련 주요 연구

죽염의 알칼리성 및 항산화 효과 연구
부산대학교 연구팀은 죽염(9회 구운 것), 천일염, 정제염의 pH, 무기질 함량, OH기 함량, 환원력, DPPH 활성산소 소거 효과를 비교했습니다. 죽염은 pH 11.04로 높은 알칼리성을 보였으며, 칼슘, 철, 칼륨 등의 미네랄 함량도 높았습니다. 또한, 항산화 효과 측정에서 죽염이 가장 높은 활성산소 소거 능력을 나타냈습니다.
죽염의 제조과정에 따른 성분 변화 연구
영남대학교와 계명대학교 연구팀은 죽염의 제조과정에서 미네랄 함량의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죽염은 일반 소금보다 칼슘, 칼륨, 마그네슘, 망간 등의 미네랄 함량이 높았으며, 제조 과정에서 이러한 미네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자죽염의 약리학적 효능 연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김형민 교수팀은 자죽염의 염증물질 생성 억제 효과와 알레르기 억제 효과를 연구하여 국제 학술지에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는 자죽염의 면역 관련 효능을 시사하지만, 인체 대상의 임상 연구는 아직 부족합니다.
-참고 기사자료
메디팜뉴스(2006.11): 자죽염 효과 입증논문 국제학술지에 게재
주의사항
1.건강 상태에 따른 섭취 여부 결정: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죽염의 섭취가 도움이 될 수도, 해로울 수도 있으므로, 섭취 전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과도한 섭취 금지: 죽염은 일반 소금보다 나트륨 함량이 높을 수 있으므로, 과도한 섭취는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죽염 섭취시 고려할 점
1. 과학적 근거의 한계: 위의 연구들은 주로 실험실 환경이나 동물 실험에 기반하고 있어, 인체에 대한 직접적인 효능을 입증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2. 나트륨 섭취 주의: 죽염은 일반 소금보다 나트륨 함량이 높을 수 있으므로, 과도한 섭취는 고혈압, 신장 질환 등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특정 질환과의 상호작용: 메니에르병이나 기립성 저혈압 등의 질환이 있는 경우, 죽염의 섭취가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전문가와 상담 후 섭취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죽염은 전통적인 제조 과정을 통해 미네랄 함량이 높아지고 일부 항산화 효과를 보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이러한 효능이 인체 건강에 직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건강을 위해 죽염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 전문가와 상담하여 개인의 건강 상태에 맞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 몸은 다양한 정보를 올바르게 사용할 줄 아는 나 자신이 지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무언가 좋은 정보를 얻었다면 그 정보의 근거를 먼저 확실히 확인하고 진행하는 것이,
내 몸을 지키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들의 건강은 그 무엇보다 소중합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 콘텐츠는 개인 경험과 신뢰할 수 있는 논문 및 의료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된 건강 정보 제공용 글이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반드시 전문의의 상담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글에 포함된 모든 이미지는 창작자의 기획에 따라 제작된 AI 기반 캐릭터 이미지이며,
특정 인물을 모델로 하지 않았습니다.
ⓒ 2025 stillbright. All rights reserved.
본 콘텐츠는 창작자의 경험과 공개된 의료 자료(논문/의료 기사 등)를 기반으로 재구성한 창작물입니다.
모든 문서 및 이미지의 저작권은 창작자에게 있으며, 무단 복제, 배포, 수정, 재사용을 금합니다.
인용된 외부 자료는 각 출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